별이 반짝이는 이유
q1) 별이 밤하늘에서 반짝거릴 때 행성도 같이 반짝거리는가?
a) 그렇다. 둘 다 반짝거린다.
b) 아니다. 단지 별만 반짝거린다.
q2) 지구 궤도를 회전하는 우주 비행사가 별을 쳐다보면
a) 별만 반짝거린다.
b) 행성만 반짝거린다.
c) 별과 혹성 모두 반짝거린다.
d) 별도 행성도 모두 반짝거리지 않는다.
해 답 : 첫째 문제 a, 둘째 문제 d
별이 반짝거리는 것은 지구 대기의 공기 밀도가 변화하는 결과로 나타난다. 우리가 경험하기로는 낮 시간에 아지랑이가 솟아오르면 그 뒤편의 물체는 똑똑히 보이지 않고 어른거리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지구의 대기도 온도 차이에 의해 기류가 계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람의 가시선도 편차를 가지고 위나 아래, 좌우로 약간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런 편차 때문에 멀리 있는 별을 잘 관찰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큰 지름을 가진 망원경이 목성의 주위에 있는 환형의 디스크를 볼 수 있으나 망원경의 지름을 훨씬 더 크게 해도 멀리 있는 별의 환형의 디스크를 볼 수는 없다.
둘째 질문에서, 진공에서는 공기의 이동이 없기 때문에 별이든 행성이든 반짝거리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재미있는물리 > 재미있는 물리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이 파란 이유 (0) | 2013.09.12 |
---|---|
풍 경 (0) | 2013.09.12 |
굴절의 원인 (0) | 2013.09.12 |
물 속의 거품 렌즈 (0) | 2013.09.12 |
물 속에서의 돋보기 (0) | 201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