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력에 따른 수직항력의 변화 ▣ 외력과 수직항력 수직 항력(n):물체가 면으로부터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받는 힘으로 물체가 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한 반작용이다. 수평면에서는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과 같다. (가) (나) (다) (가)의 경우 : 수직항력(n)은 물체의 무게(mg)와 같다. (나)의 경우 : 연직방향으로 평형상태에 있으므로 연직방향의 합력은 0이다. 이는 외력의 수직성분(10N)과 수직항력의 합이 물체의 질량과 같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직항력 n이 무게 mg보다 작다. (다)의 경우 : 연직방향으로의 합력이 0이다. 따라서 수직항력 n이 무게 mg보다 크다. 이와 같이 수직항력은 항상 중력의 크기(무게)와 같은 것이 아니다. 외력이 작용하여 힘의 평형이 이루어졌을 때, 외력이 작용한 방향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짐을 확인..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3. 10. 10. 20:47
엘리베이터 관성 ▣ 엘리베이터에서의 관성력 관성력은 가속 운동하는 관찰자에게만 나타나는 가상적인 힘이다. 가속 운동 중인 차나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관찰자에게는 가속도의 방향과 반대로 '어떤 힘'을 느끼게 되는데 이 힘을 관성력이라고 한다. 엘리베이터가 위 또는 아래로 가속될 때 관성력이 사람에 작용하는 중력과 같은 방향이 되거나 반대 방향이 되어 사람의 몸무게가 변하게 된다. (가) : 등속도 운동 : 관성력 = 0 → 원래의 무게와 동일 (나) : 위로 가속 : 관성력(ma)이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함 → 몸무게 증가 (다) : 아래로 가속 : 관성력(ma)이 중력과 반대 방햐으로 작용함 → 몸무게 감소 관련동영상 <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3. 9. 11. 15:45
작용 반작용-저울 작용-반작용 : 체중계 위의 두 남자의 몸무게 변화 아래 그림 에서 A가 B를 아래로 F의 힘으로 누르면 B의 몸무게는 F만큼 증가하게 된다(W + F). 이 때 A의 몸무게는 F만큼 작아지게 된다. (W - F). 그 이유는 B도 A에게 F크기의 힘을 위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림 그림 이와 같이 A와 B사이에 주고 받는 힘은 1. 힘의 크기는 같고, 2. 방향은 반대이며, 3. 서로 다른 물체에 작용점이 있다. 이 두 힘의 관계를 작용-반작용이라고 한다.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3. 9. 11. 1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