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성력이란? 관성력이란? 여러분은 갑자기 출발하는 버스 안에서 중심을 잃고 넘어질 뻔 하거나 가속 운동하는 엘리베이터에서 자신의 몸이 무거워지거나 가벼워지는 경험이 있었을 것이다. 또 놀이공원에서 바이킹이나 자이로드롭을 탈 때 의자에서 엉덩이가 분리되는 짜릿한 경험을 해 보았을 것이다. 이런 현상은 ‘관성력’ 때문에 나타난다. 자, 이제부터 그 관성력이라는 놈에 대해서 어찌 보면 간단히, 어찌 보면 깊이 있게 배워보자. 1. 좌표계의 종류 물체의 위치와 운동을 명확하기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좌표계는 관측자에게 편리하도록 임의로 잡을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상황을 기술하는 데에 있어서 관측자마다 자기에게 편리한 좌표계를 도입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같은 물리적 상황을 겉보기에는 다르게 기술할 수 있지만 실제 물리 법.. 대입자료실/심층&구술면접 자료 2015. 11. 9. 10:26
전향력(코리올리효과) | 가속좌표계와 관성력 |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는 모두 등속도 운동을 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방향을 바꾸거나 속력이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가속도 운동을 하는 경우가 더 많다. 갑자기 버스의 방향이 바뀌거나 속력이 변하면, 승객은 버스의 속도 변화와 반대 방향으로 힘을 느끼게 된다. 이 힘은 기준틀의 운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자. 속도가 변하는 버스나 위 그림과 같이 방향이 계속 바뀌는 원운동을 하는 놀이 기구를 타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준틀들에 작용하는 알짜힘은 0이 아니기 때문에 가속도가 있어 비관성 기준틀이라고 한다. 이러한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하는 좌표계를 가속 좌표계라고 한다. 일정한 속도로 달리는 버스 안에서는 손잡이를 잡지 않아도 넘어지지 않고 서 있을 수 있지..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5. 7. 7. 15:22
버스의 관성 ▣ 버스의 관성 동일한 물체라도 물체의 운동은 관측자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있다. 즉, 운동을 기술하는 기준 좌표계에 따라 운동하는 관측자를 기준으로 정한 좌표계를 관성계라고 하고, 가속도 운동을 하는 관측자를 기준으로 정한 좌표계를 가속계라고 한다. 관성계에서는 물체가 실제로 받고 있는 힘을 고려하여 운동 법칙을 적용하면 물체의 운동은 관찰 사실과 잘 일치되게 기술된다. 그러나 가속계에서는 물체가 실제로 받고 있는 힘 이외에 가상적인 어떤 힘이 더 있다고 생각해야만 관찰 사실과 일치되는 운동 방정식을 세울 수 있다. 그림은 버스가 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버스 안의 손잡이의 모습을 정지한 관측자가 본 경우 그림 (가)와 버스 안에 타고 있어 가속도 운동을 하는 관측자가 본 경우 그림 (나)를 나..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3. 9. 11. 15:51
엘리베이터 관성 ▣ 엘리베이터에서의 관성력 관성력은 가속 운동하는 관찰자에게만 나타나는 가상적인 힘이다. 가속 운동 중인 차나 엘리베이터 내부에 있는 관찰자에게는 가속도의 방향과 반대로 '어떤 힘'을 느끼게 되는데 이 힘을 관성력이라고 한다. 엘리베이터가 위 또는 아래로 가속될 때 관성력이 사람에 작용하는 중력과 같은 방향이 되거나 반대 방향이 되어 사람의 몸무게가 변하게 된다. (가) : 등속도 운동 : 관성력 = 0 → 원래의 무게와 동일 (나) : 위로 가속 : 관성력(ma)이 중력과 같은 방향으로 작용함 → 몸무게 증가 (다) : 아래로 가속 : 관성력(ma)이 중력과 반대 방햐으로 작용함 → 몸무게 감소 관련동영상 <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3. 9. 11. 15: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