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마술-전반사 물속에 들어가면 유난히 다리가 굵고 짧아 보이죠? 물이 담긴 컵에 빨대를 꽂으면 빨대가 꺾여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빛의 굴절’ 때문이랍니다. 빛은 일반적으로 직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어떤 물질을 통과하는지에 따라 직진하는 속도가 달라지지요. 때문에 한 물질에서 다른 물질을 통과할 때 두 물질의 경계면에서 빛이 꺾이는 굴절현상이 나타난답니다. 빛이 굴절되는 정도는 굴절률이라고 해요. 굴절률이 큰 물질을 통과할수록 빛의 속도는 느려져요. 물속에 있는 물체가 원래보다 떠 보이거나, 물에 꽂은 빨대가 꺾여 보이는 이유도 공기와 물의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이런 빛의 성질을 이용하면 특별한 기술 없이도 신기한 마술을 선보일 수 있어요. 물속에 담그기..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10. 18. 10:29
과학마술-탁구공 공중 부양 예전에 이 마술을 보여주신 현직 교사분이 계셨습니다. 정말 감쪽같이 속아 넘어갔습니다. 다른 마술에 비해 학생들의 반응이 매우 큽니다. 물론 눈속임이지만... 관건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아주 가는 실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실은 마술품을 파는 가게에서도 팔지만... 마술선생님의 말씀처럼 여자용 스타킹의 한 올을 잘 뽑아내면 됩니다.. 성공하세요^^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44
과학마술-손가락 통과 마술 줄을 이용한 손가락 통과 마술입니다. 줄을 여러번 꼬는 과정에서 스스로 풀리게 하는 것 같네요. 줄과 손가락만 가지고 하는 마술이라 준비하기에 매우 간편하네요. 수업 중 아이들이 졸릴 때 바로 준비하고 보여주기에 좋은 자료라고 생각합니다. 과학마술이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지만... 잘 따지고 보면 과학이 아닌 것이 어디 있겠습니다.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43
과학마술-프러포즈 카드와 반지를 이용한 간단한 마술이네요. 학생들이 호기심을 가질 수 있는 마술입니다. 나중에 프러포즈 때 사용하라고 하면 관심을 가지고 보지 않을까요? 알고 보니 너무 쉬운 마술이네요..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41
과학마술-지폐 위에 동전 올리기 지폐위에 동전 올리기 무게중심과 마찰력을 이용한 실험입니다. 지폐가 펴진 상태에서 동전을 올리기는 매우 힘듭니다. 하지만 한 번 접혀진 지폐 위의 동전은 스스로 무게 중심을 지폐위에 맞추면서 움직이게 됩니다. 지폐가 펴지면서 한 쪽으로 치우쳐진 동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동전을 지폐 가운데로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39
과학마술-캔 세우기 캔 세우기 캔의 무게중심을 아래의 받침점 위에 적당히 올라오게 하면 성공하는 실험입니다. 캔의 종류에 따라 내용물의 양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실험의 성공여부가 결정됩니다..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37
과학마술-폴리소디움 과학 마술 폴리 소디움 아크릴레이트 입니다. 슬러시 파우더로 할 수 있는 마술 1. 관객의 머리에 물 사라지게 하기 2. 물을 종이 가루로 바꾸기 3. 액체를 다른 물체로 바꾸기 4. 물컵에 부은 물 사라지기 5. 종이컵 몬테 (3개의 종이컵 중에 들어 있는 물 찾기) 이 도구를 이용한 과학 관련 내용을 볼까요? 고분자 흡습 폴리머란? 1970년대에 미국의 한 연구소는 옥수수 녹말을 어디에 이용할 수 있을지 여러 가지 각도로 연구를 하였습니다. 그 때 녹말에 또 다른 고분자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사슬을 길게 접합시켜 복합구조를 만들어보니 놀랍게도 물을 수백 배나 흡수하는 새로운 재료가 됨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 발견이 알려진 후 여러 나라에서 고(高)흡수성 고분자 개발에 열을 올렸던 것입니다. 물론 녹말뿐..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35
과학마술-역행하는 반지 역행하는 반지 내용 : 고무줄에 걸린 반지가 거꾸로 올라간다. 준비물 : 고무줄, 반지 해법 : 반지가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고무줄이 움직이는 것이다. 이때 고무줄과 반지에 생긴 마찰력이 반지가 미끄러지지 않게 해준다. 고무줄의 탄성력 실제로 탄성은 놀이터와 운동장의 바닥재 자동차의 타이어에 적용되어 몸에 오는 충격을 흡수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발휘한다. 공을 멀리 보내야 하는 골프에도 탄성의 원리가 활용 되고 있다. [출처] 대이빅의 과학마술(http://blog.naver.com/baengjoon)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33
과학마술-드롭링의 원리(원심력) 분리되어 있는 목걸이와 팔찌. 마술사는 목걸이와 팔찌를 받아 아무런 제스쳐 없이 팔찌를 목걸이에 걸어 버린다. 과연 어떻게 된 것일까? 쉽게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방법을 모르는 일반인은 아무리 해도 되지 않는 이 마술의 비밀은 무엇일까? 목걸이에 팔찌를 걸고 팔찌를 떨어 뜨릴때 어떠한 특정한 물체에 부딪힘으로써 팔찌에 회전력이 생겨 목걸이의 안으로 순식간에 걸어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 현상의 원리는? 이 현상의 원리는 원심력입니다. 90도 이하를 회전한 물체가 체인에 걸리는 것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90도를 넘게 되는 순간 체인과 링 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기기 때문에 180도를 돌 수도 없습니다. 하지만 링이 떨어 질 때 손가락에 걸리면서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체인과 생긴 마찰력에서.. 수업&학습자료실/과학마술 2013. 9. 17. 19: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