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4년 일반고 학생 진학률
4년제大 2.3%P 하락·전문대는 2.8%P 증가
지방 하위권 4년제大 신입생 모집난 심화될 듯
최근 4년간 전국 일반고 학생들의 전문대 진학률은 증가한 반면 4년제 대학 진학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불황 장기화로 대학 졸업 후 취업문제가 최대 관심사가 되면서 '명분(학력)'보다 '실리'를 택하는 일반고생이 많아졌다는 얘기다. 지방대를 중심으로 가뜩이나 신입생 모집이 만만찮은 4년제 대학의 위기감이 현실화한 셈이다.
이는 세계일보가 29일 입시전문업체 하늘교육과 '학교알리미'(초·중등 교육정보 공시시스템)에 공개된 전국 일반고의 2010∼2013학년도 대학 진학률을 분석한 결과다.
분석 결과 전국 1529개 일반고(2012년 기준) 중 학교알리미에 진학률을 공시한 고교 전체의 전문대 진학률은 2010학년도 21.7%(1375개교), 2011학년도 22.6%(1315개교), 2012학년도 24.3%(1426개교), 2013학년도 24.5%(1451개교)로 매년 늘고 있다. 최근 4년간 2.8%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서울지역 일반고만 해도 전문대 진학률이 2%포인트(2010학년도 19.5% →2013학년도 21.5%) 올랐다. 같은 기간 이들 일반고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이 2.3%포인트( 〃55.6% → 〃 53.3%) 떨어진 것과는 대조적이다.
시·도별 일반고의 전문대 진학률(2013학년도 기준)은 세종시가 32.2%로 가장 높았고, 제주(28.6%), 경북(28.2%) 등이 뒤를 이었다. 광주(14.3%)는 가장 낮았다.
이 처럼 전문대와 4년제 대학의 희비가 엇갈린 것은 경기불황과 취업난이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대학 재학 중 등록금을 포함한 소요 비용과 취업 전망, 취업 후 급여 등을 따져봤을 때 4년제가 더 이상 전문대에 비해 실익이 크지 않다는 점을 학생들이 고민한다는 것이다.
전국진로진학상담교사협의회 김종우 회장(서울 성수고)은 "4년제 졸업생 중 취업을 위해 전문대에 다시 입학하는 경우가 많을 정도로 취업난이 심각하지 않냐"며 "이제는 일반고 학생들도 무턱대고 4년제를 가기 보다 대학 졸업 후 무엇을 하고 살 것인지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늘면서 전문대 선호도가 높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2014학년도 대입 수시 선발에서도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경쟁률은 전년도19.02대 1에서 17.76대 1로 낮아졌다. 반면 서울 소재 전문대 9개 중 수시모집 인원과 지원자 수를 공개한 7개 대학의 경쟁률은 전년도 11.07대 1에서 12.03대 1로 상승했다.
임성호 하늘교육 대표는 "고등직업교육기관을 표방한 전문대가 앞으로 특성화에 성공할 경우 전문대 진학률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지방의 하위권 대학 등 경쟁력이 약한 4년제 대학들은 비상한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신입생 모집난 가중 등으로 존립 자체가 위험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출산율 저하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신입생 모집에 경고등이 켜진 4년제 대학이 적지 않다. 앞서 교육부가 지난 6월 전문대의 수업연한을 현행 2∼3년에서 1∼4년으로 다양화 하는 내용의 전문대 육성책을 발표할 때 4년제 대학들이 탐탁치 않아 했던 것도 전문대에 신입생을 빼앗길 수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었다.
올해 초·중·고 학생 수는 약 653만명으로 5년 전(약 749만명)보다 96만명 가량 주는 등 2018학년도부터는 대입 정원이 고교 졸업자 수를 초과하는 '역전현상'이 예상된다.
출처 : 세계일보 (2013. 9. 30)
'대입자료실 > 공부&진로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과별 미래의 직업세계 (0) | 2014.04.02 |
---|---|
연구하고 논문 쓰는 과학중점학교 왕년의 서울고 명성 되찾다 (0) | 2013.10.01 |
선생님이 본 '아이들이 공부 안 하는 이유' (0) | 2013.09.17 |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공부해야 하는 이유' (4) | 2013.09.17 |
공부 못하는 10가지 방법 (0) | 201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