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낙하에서의 평균속도 아래 그림에서 돌멩이가 1초 동안 떨어졌다면 그 1초 동안의 평균속도는 얼마인가? (a) 0 m/s (b) 1 m/s (c) 1.2 m/s (d) 4.9 m/s (e) 9.8 m/s 정답 : d 1 초가 지나가는 순간 돌의 속도는 9.8 m/s 이지만 초속도는 0 이었다 돌은 정지상태에서 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평균속도는 9.8 m/s 일 수 없고 0 은 더욱 아니다. 낙하하는 동안 가속도는 일정하므로 평균속도는 0 과 9.8 m/s 의 중간값인 4.9 m/s 이다. 여기서 구분할 것은 어떤 특정한 순간의 속도인 순간속도와 전체적인 평균속도의 차이다. 따라서 돌멩이의 평균속도가 4.9 m/s 이므로 1초 동안 낙하한 거리는 4. 9 m 이다 만약 돌멩이가 2초간 낙하했을 때의 평균속도는 다음 그래프에서.. 재미있는물리/재미있는 물리여행 2014. 8. 26. 14:07
물체의 크기와 종단속도 * 종단속도낙하하는 물체에는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운동방향으로 가속되어 낙하 속력이 커진다. 하지만 진공 속을 낙하하는 경우와 달리 물이나 공기 같은 유체 속을 낙하하는 경우 운동방향의 반대편으로 작용하는 부력과 저항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저항력은 속력이 빠를수록 더 커지는데, 일정 속도에 도달하면 저항력과 중력의 크기가 같아져 물체에 작용하는 합력이 0이 되어 물체는 가속도가 없는 등속도 운동을 한다. 등속도로 운동하는 물체는 속도가 일정하므로 저항력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렇게 속력에 비례하는 저항력을 받고 움직이는 물체가 어느 속도에 도달하면 더 이상 가속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로 낙하할 때의 속도를 종단속도라고 한다. 공기 중에서 낙하하는 물체의 경우, 부력의 크기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고..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3. 9. 10. 21:22
진공중에서의 낙하 1. 공기저항이 없는 경우 - 떨어지는 돌멩이 바위는 조약돌보다 몇 배나 무겁다. 그러므로 바위에 작용하는 중력은 조약돌에 비해 몇 배 더 크다. 그렇지만 만일 바위와 조약돌을 동시에 떨어뜨린다면(공기의 저항을 무시할 때) 두 돌의 가속도는 똑같다. 바위가 조약돌보다 더 가속도가 크지 않은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과 관계가 있을까? a) 에너지 b) 무게 c) 관성 d) 표면적 e) 어느것도 아니다. 해 답 : 떨어지는 돌멩이 정답은 c) 관성이다. 정말, 분명하고 간단한 답이다. 만일 가속도가 힘에 비례한다면, 바위에 작용한 중력의 크기가 더 크므로 가벼운 조약돌보다 가속도도 클 것이다. 그러나 가속도는 그 물체의 질량과도 관계가 있다. 그것은 관성과도 관계가 있고 따라서 운동을 변화시키려는 것을 막는.. 역학가상실험실/뉴턴의 운동법칙 2013. 9. 10. 1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