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컨의 기름방울(유적) 실험 19세기 말에 톰슨은 전자를 발견하였다. 전자를 발견하였지만 전자의 질량이나 전자의 전하량을 각각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하고, 전자의 질량과 전하량의 비 e/m만을 측정하였다. 1909년 밀리컨은 그림과 같은 방법으로 기본 전하량을 측정하였다. 전압을 걸어 준 평행판 사이에 분무기로 기름 방울을 뿜어 준다. 이 기름 방울들은 분무기에서 방출될 때 분무기 노즐과의 마찰에 의해서 전하를 띠게 된다. 이 중 몇 방울이 상판에 있는 구멍을 통해 떨어지고, 이는 현미경을 통해 관찰한다. 이 때 위로 향하는 전기력과 아래로 향하는 중력이 비기게 되면 이 기름 방울들은 정지하거나 또는 등속운동을 할 것이다. 이것을 이용하여 밀리컨은 전하량을 구했는데 이에 대하여 알아보자. 1) 전하량의 측정 위 그림과 같이 두 평행한.. 현대물리가상실험실/원자와 원자핵 2013. 10. 8. 12:38